🔥 1. 푸틴 대통령의 발언과 전쟁 가능성
주말 사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NATO 수뇌부의 발언을 보면 양측 모두 전쟁이라는 길을 피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듯 보입니다. 양측은 서로를 억제하고자 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서로를 더욱 자극하며 안보 딜레마에 빠져들고 있습니다.
🪖 2. ‘국민전선’과 전면전 준비
푸틴은 ‘국민전선(People’s Front)’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사회운동을 통해 전 국민 동원을 선언했습니다. 그는 국민전선을 통해 국가가 직면한 중대한 위협에 대응하고 있으며, 조국을 위한 희생과 참여를 강조했습니다. 이는 러시아 내부에서는 매력적인 메시지일 수 있지만, 실제 러시아 내부에는 ‘왜 이 전쟁이 이렇게 오래 지속되는가’에 대한 불만도 많습니다.
📉 3. 우크라이나 전황과 사상자 통계
최근 보고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에만 약 26만 5천 명의 우크라이나 군인이 사망했고, 전체 사상자는 170만~18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반면 러시아 측 사망자는 2022년부터 누적으로 12만~13만 명 수준입니다. 이는 양측의 전쟁 방식 차이 때문입니다.
⚠️ 4. 남캅카스(코카서스) 지역의 위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집중하는 동안 아제르바이잔과 이스라엘, 터키, 미국이 함께 이란을 견제하는 움직임을 간과했습니다. 특히 아제르바이잔은 이란 북서부의 아제리족 지역에 반란을 유도하며 침공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는 이란 해체 시나리오와 직결됩니다.
🇮🇱 5. 이스라엘의 영향력과 중동 전략
이스라엘은 이란의 핵과 미사일 기지를 겨냥해 전쟁 준비를 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아제르바이잔, 터키와 반(反)이란 연합축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리아 북부와 레바논 지역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입니다.
💥 6. 푸틴의 전략: 전쟁 가속화와 외교적 경고
푸틴은 더 이상 ‘특별 군사작전’이 아닌 ‘전쟁’이라고 명시하며, 유럽과 미국이 이란과 러시아를 고립시키려는 시도에 강하게 대응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이는 단지 국민 동원이 아닌, 미국과 서방 세계를 향한 외교적 메시지이기도 합니다.
💰 7. BRICS 대 미국 중심 금융 시스템
💡 BRICS 확장 현황
- BRICS는 현재 **44%의 세계 GDP(PPP 기준)**를 차지하고 있으며, G7을 이미 초월했습니다.
- 기존 멤버: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
- 최근 가입: 이집트, 이란, UAE 등
- 곧 가입 예정 국가: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베트남 등
- 이를 통해 브레튼우즈 체제와 달러 중심 국제 금융 질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음.
🏦 8. 달러 시스템 붕괴와 대안
미국이 자국 이익을 위해 구축한 달러-스위프트 시스템은 이제 금 기반 통화 체제 및 중국 주도의 ‘CIPS’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음.
이 구조 안에서는 더 이상 미국의 금융적 협박과 제재가 먹히지 않으며, 많은 국가들이 **탈달러화(de-dollarization)**로 전환 중임.
🇺🇸 9. 트럼프와 미국의 대응
트럼프는 BRICS와 협력하는 국가에는 10% 관세 부과라는 강수를 뒀지만, 이는 이미 국제적 흐름을 되돌릴 수 없는 지점을 지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한 것입니다.
게다가, 군사력 과시에 집착하며 국방비를 대폭 증액하겠다고 하지만 미국의 경제 구조는 이미 한계점에 다다른 상태입니다.
🧨 10. 이란과 가자지구의 다음 국면
-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전멸 및 서안지구 병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를 암묵적으로 지지.
- 60일 간의 휴전이 이뤄질 수는 있으나, 이는 재정비용 시간 벌기일 뿐 전쟁은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이란은 9월경 아제르바이잔 침공에 강력히 반격할 가능성이 큽니다. 상황이 중동 전체로 확전될 조짐이 뚜렷합니다.
⚠️ 11. 미국과 서방의 근본적 위기
- 유럽과 미국은 과도한 군비 지출과 무제한 국채 발행으로 국가 재정이 파탄 직전.
- 달러 가치 하락, 외국 자본 이탈, 부동산 거품과 실업 증가가 동시 발생 중.
- 트럼프의 환율 조작, 이자율 통제 시도 등도 시장 신뢰를 잃고 있음.
🎯 결론: 전 세계가 격변의 문 앞에 있다
- 푸틴은 전면전을 준비 중이며, 서방이 이를 중단하지 않으면 사태는 중동·코카서스·우크라이나로 동시에 확대될 것.
- BRICS는 단순한 경제 연합을 넘어, 새로운 세계 질서를 추구하고 있음.
- 미국과 유럽은 외부의 적을 내세워 내부 통제와 경제 위기를 은폐하려 하고 있지만, 거대한 구조적 붕괴는 피할 수 없음.
9~10월 찬바람 불때 다시 중동전이 재발 할 것.
이때, 루블은 더욱 평가 절하 될 것임.
이때, 달러를 버리고 루블을 산다면
전후 브릭스가 주도권을 잡아갈때 크게
먹을 수 있을까?
선택은 각자의 몫 !!
'재테크 > 외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블과 헤알화 투자 (0) | 2025.03.06 |
---|---|
외환투자 전략 (0) | 2025.03.04 |
레버리지 1_외환투자로 돈벌기 (0) | 2023.05.26 |
1월 5일 달러매수 진입 (0) | 2023.01.05 |
Scalping in Fx (0)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