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코인 안전할까? 트럼프가 달러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추진하면서, 국가의 CBDC 즉 국가가 보증하는 스테이블 코인은 금지하고 있다. 개인 또는 법인이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고, 해당하는 보증금으로 미국채권을 매수하게 하여 미 국채의 수요를 늘려 달러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만일, 모종의 세력이 부실한 회사를 세워 달러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초과 발행하고 국채매수를 하지 않거나 고의 부도 처리하여 당 회사에 관련된 스테이블 코인을 무효화 시키는 전략을 쓴다면 이를 방지할 대책은 있는가? 더, 나아가 금 본위제, 석유에 페깅하기 이 모든 시도에도 불구하고 달러화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달러에 페깅하는 코인을 풀었을 때 이 코인이 잘못되는 경우 달러의 가치는 어떻게 되는지 각 시나리오 별..
비트코인 암시장을 이용한 과세회피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에 대한 비공식적인 '암시장' 또는 '장외거래(OTC)'가 존재한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러한 암시장에서는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현금을 직접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거래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만약 마늘밭 100만 달러를 암시장에서 비트코인으로 바꾼 다음, 이를 스테이블 코인으로 전환하여 외국계 투자회사에 투자하고 과세를 피하려 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일부 단계'에서 제도권의 직접적인 감시를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시나리오는 매우 위험하고, $100만이라는 큰 금액에 대해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또한, 성공한다 해도 심각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는 불법 행위입니다.** 구체적인 문제점과 정부의 ..
부동산으로 흥하고 부동산으로 망하다 노후를 분양 합니다. _ 프라이빗한 실버 타운이 주는 허상- 2009년 18억에 분양, 주변 아파트 시세는 2000일 때, 평당 3천에 분양받는다. 다양한 연회장과 골프 연습장이 있다. 리셉션룸 하며 여러 부대시설은 초기에 환상을 주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5년이 지나면서, 실버타운은 곰팡이 지옥이 되었다. 단지내 식당, 병원, 골프장등 시설 운영비를 입주자 일인당 3천5백만원씩 부담 하고 거주 하는 구조였다. 그야말로 상위 클래스만의 생활 공간으로 꾸려진 공간이었다. 멀쩡히 잘 나가던 회사도 망하기 쉬운 세상에서, 커뮤니티에서 나오는 수익을 운영회사가 가만히 놔두었을리가 없다. 사업자는 취 등록세 면제와 자연녹지위에 허가가 날 수 있는 노인복지시설이라 땅값도 저렴하게 구입하여 시공하였을 것이다. 온갖 현..
북극항로와 부동산투자 극항로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최단 항로로, 크게 시베리아 북부 해안을 따라가는 **북동항로(Northern Sea Route, NSR)**와 캐나다 북부 해역을 따라가는 북서항로로 나뉩니다. 한국이나 일본에서 출발하는 선박은 주로 러시아 시베리아 해안을 따라가는 북동항로를 이용합니다.1. 북극항로의 출발지와 도착지한국/일본 출발지: 부산항, 울산항, 요코하마항 등 동아시아 주요 항만들이 출발지가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18년 8월에는 컨테이너선 '벤타 머스크호'가 부산항을 출발하여 북극항로를 통과한 사례가 있습니다.북극항로 주요 경유지: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항, 보스토치니항 등 극동 지역 항만들이 북극항로의 동쪽 기점이자 주요 경유지가 됩니다. 이후 시베리아 북부 해안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합니다..
2025 부동산 시장 1. 2025년 주택구입부담지수가 과거 최저치(2005년·2015년)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은 이유 가. 정부 정책 “건설사와 빛내서 집사라”의 역할 정부는 주택시장 안정과 내 집 마련 지원을 위해 여러 정책들을 펼쳤습니다. 그 중 “건설사와 함께 빛내서 집사라”와 같이 건설사 중심의 주택공급 촉진 및 주택 구매 지원 정책은 다음과 같은 부작용을 낳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수요 자극 및 기대 심리 확대:정부가 건설사를 지원하고, 구매를 촉진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단기적으로 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 하락 효과(구입 부담 완화)가 나타나야 할 시점에도 가격이 상대적으로 안정되거나 오히려 상승 압력을 받게 되었습니다.시장 왜곡과 공급 측면의 한계..
부동산: 정권별 정책 및 가격 상승 박근혜 정부 (2013년~2017년) 박근혜 정부는 침체된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하고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다양한 부동산 부양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주요 정책:·         2013년 4월: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취득세 면제, 9억 원 이하 주택 양도소득세 면제 등 세제 혜택 제공.·         2013년 8월: 취득세율 인하, 저리 장기 모기지 확대.·         2014년 7월: LTV·DTI 규제 완화, 재건축 연한 단축(40년 → 30년).·         2014년 12월: 분양가 상한제 탄력 적용, 재건축 초과이익 부담금 유예.·         2016년: 행복주택 및 뉴스테이 공급 확대.·         부동산 가격 상승률:박근혜 정부 임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