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린치와 PEG

EPS(Earning per Share) = 당기순이익 / 총주식수

                (EX) 내가 투자한 주식 한주는 일년에 얼마를 벌어 들일까?

                       투자대비 수익이 높은 것이 좋으므로 숫자가 클수록 좋아요. 

 

PER( Price to Earning Ratio) = 시가총액/ 당기순이익 

                 (EX) 몇년을 벌어야 현재 주가에 도달 할 수 있을까?

                        투자한 원금을 빨리 회수 하는것이 좋으니까, 숫자가 작을수록 좋아요. 

 

PEG( Price Earning to Growth Ratio) = PER/EPS증가율                  

                  (EX) PER =100, 주가 = 100, EPS = 1 인 기업이 있다고 가정 해 보면, 

                       원금 회수에 걸리는 시간은?

 

                                                (1.2)^x = 100 인 지수 방정식을 풀면                      

                                                 X = 25                  

     

한해만 생각하는 정적인 분석에서는 100년이 걸렸으나, 성장률을 고려한 동적 분석에서는 25년이 걸립니다.    

                                           

결론: 피터린치가 기준으로 삼던 PEG 수치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속에서 만들어진 수치 입니다. 투자 대상의 시간 공간에 따라 수익을 내는 종목들에 대한 PEG 수치를 재 정의 한 뒤에 이용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 합니다. 시간이 되면 KOSPI, KOSDAQ에 대한 수익나는 종목에 대한  PEG 수치를 생산해 보도록 하겟습니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투자 타이밍  (1) 2022.08.20
20220726 삼성전자 분석  (0) 2022.08.19
장단기 금리차  (0) 2022.08.19
21년 9월 관찰 주식  (0) 2022.08.19
해외주식 투자는 지수형 ETF로  (0) 2022.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