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을 권하는 사회!
대출로 부동산을 부양 하려는 정부의 눈물나는 정책은 지속 되고 있습니다.
빛 속에 절망이 있음을!!
청년 전세대출
청년 전세대출은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거주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대출 상품
주요 상품 및 조건:
· 버팀목 청년 전세대출:
최대 대출 한도: 2억 5천만 원.
금리: 연 1.2%~2.4%.
대상: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무주택 청년
특징: 소득이 낮거나 신용등급이 낮아도 대출 가능하며, 최저 금리 혜택 제공.
·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대출:
최대 대출 한도: 2억 원.
금리: 연 1.2%.
대상: 중소기업 재직 5년 이내 청년
· LH 청년 전세대출:
최대 대출 한도: 1억 원.
금리: 연 1%.
대상: 만 19세 이상~39세 이하 무주택 미혼 청년,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특징: LH가 집주인과 계약을 맺고 청년에게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방식으로 안정적 주거 환경 제공.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저축 상품으로,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 주요 내용:
가입 조건: 만 19세~34세, 연소득 최대 7,500만 원 이하.
납입 금액: 월 최대 70만 원.
정부 기여금 지급: 소득 구간에 따라 매월 최대 6% 지원.
비과세 혜택: 만기 해지 시 발생한 이자에 대해 비과세 적용.
추가 혜택: 군 장병 급여만 있어도 가입 가능하며, 혼인·출산 시 특별 중도해지 허용
청년주택드림대출
청년주택드림대출은 청약 당첨된 청년들에게 주택 구입 자금을 지원하는 상품입니다.
· 주요 내용:
대상: 만 20~39세 무주택자, 분양가 6억 원 이하 주택.
대출 한도: 분양가의 최대 80%.
금리: 최저 연 2.2%, 소득 및 대출 만기에 따라 변동.
대출 만기: 최대 40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청년층의 월세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 정책입니다.
· 주요 내용:
대상: 만 19~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지원 금액: 월 최대 20만 원.
지원 기간: 기존 12개월 → 2025년부터 최대 24개월로 확대
글을 마치며:
2025년 한국의 청년대출제도는 한도 확대, 금리 인하, 소득 기준 완화 등으로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고는 하나
근원적 해결책은 아닙니다.
자산의 버블을 꺼뜨려서 정부의 도움 없이도
자력으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지금 처럼 청년들의 일생을 빛으로 옭아매어 건설업자와 부동산을 부양하려는
정부의 정책으로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출산율 감소를 막을 수 없습니다.
한국의 기득권 세력은 50년이 지나서,
한국의 인구가 급격히 줄어 들어 노동력이 부족해 지면 어떻게 하시렵니까?
젤렌스키의 어리석은 욕망은 자국민을 전쟁의 대포밥으로 만들었습니다.
한국 기득권의 욕망은 한반도에서 한민족 멸종 시나리오의 서막이 될 것입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중국에 미치는 영향 (1) | 2025.04.10 |
---|---|
혁신성장촉진자금 (1) | 2025.04.09 |
"명문"으로 평가받는 탄핵 결정문 (0) | 2025.04.05 |
한국, 중국 국제결혼으로 본 문화차이 (1) | 2025.03.22 |
동남아 이주_주거비, 식비 비교 (0) | 2024.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