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및 미국의 준비과정
* 1980년대 초: 미국의 레이건 행정부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20%까지 인상하는 긴축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로 인해 달러 가치가 급등하며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고 무역 적자가 심화되었습니다
* 1981~1984년: 미국의 "쌍둥이 적자"(재정적자 + 무역적자)가 GDP의 3.5%까지 확대되자 산업계(자동차, 전자 등)가 보호무역주의를 요구하며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의회에서는 무역보호법 통합 논의가 가속화되었습니다
* 1985년 9월 초: 미국 재무부는 G5(미국, 일본, 서독, 프랑스, 영국) 국가들과 비공개 협상을 진행하며 달러 평가절하 압력을 강화했습니다. 일본과 서독은 초기 반대했으나 미국의 보복관세 위협과 외교적 압박에 굴복했습니다
2. 합의 일자별 진행
* 1985년 9월 22일: 뉴욕 플라자 호텔에서 G5 재무장관 회의 개최. 달러 가치 10~12% 하락을 목표로 6주간 180억 달러 규모의 공동 외환시장 개입 합의
* 1985년 9월 23일: 합의 발표 직후 엔/달러 환율이 234엔 → 225.5엔으로 급락(약 3.6% 절상)
* 1985년 10월~11월: 미국(32억 달러), 일본(30억 달러), 서독·프랑스·영국(20억 달러) 등 총 100억 달러를 투입해 시장 개입 지속. 엔화는 14.4%, 마르크는 7.7% 절상 달성
* 1985년 11월 8일: 공식적 시장 개입 중단, 그러나 달러 약세는 지속됨
주요 국가별 자본 시장 변동 (1985~1990년)
1. 일본
· 주식시장:
o 1985년 니케이 지수 12,000포인트 → 1989년 38,915포인트로 폭등(3배 상승).
o PER(주가수익비율) 60을 넘는 버블 형성. 1990년 23,848포인트로 추락하며 버블 붕괴312.
· 부동산:
o 1987~1990년 도쿄 지가 3배 상승. 100년 만기 대출 등 투기적 거래 확대.
o 1990년 대출총량규제 실시 후 부동산 가격 70% 폭락, 은행 부실채권 급증311.
2. 미국
· 주식시장:
o 달러 약세로 수출 기업(IBM, 모토로라)의 주가 상승. 1987년 블랙먼데이(10월 19일)로 다우지수 22.6% 급락했으나 빠 르게 회복
· 부동산:
o 달러 약세로 외국인 투자 증가(일본의 록펠러 센터 매입 등). 1980년대 후반 지역별 가격 변동 있으나 전반적 안정
3. 서독(독일)
· 주식시장:
o 마르크 강세로 수출 기업(폭스바겐, 지멘스) 주가 일시 하락. 1987년 블랙먼데이 영향 적음
· 부동산:
o 내수 확대 정책으로 주택 수요 증가, 1986~1990년 서독 주요 도시 부동산 가격 15% 상승
4. 영국 & 프랑스
· 영국:
o 파운드 절상으로 제조업 주식 약세. 1986년 빅뱅(금융개혁)으로 런던 증시 활성화
· 프랑스:
o 프랑 강세로 수출 부진, 정부 주도의 산업 구조 조정으로 주식시장 안정
향후 5년간 주요 추이 (1990년 기준)
· 일본: 1990년 니케이 지수 38,915 → 1992년 14,309로 붕괴. 부동산 가격 50% 이상 하락하며 "잃어버린 10년" 시작
· 미국: 1987년 블랙먼데이 이후 연준의 유동성 공급으로 주식시장 회복. 1990년대 초 IT 산업 성장 기반 마련
· 서독: 1990년 독일 통합으로 부동산 수요 증가, 동독 지역 개발 투자 확대
· 영국/프랑스: 유럽 통합(마스트리흐트 조약) 준비로 금융시장 개방화 가속
요약
· 미국: 달러 약세 유도를 위한 G5 협상 주도 → 단기적 무역적자 개선 성공, 장기적 금융시장 안정화.
· 일본: 엔고로 인한 자산 버블 형성 및 붕괴 → 장기 침체 시작.
· 유럽(서독·영국·프랑스): 통화 강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 내수 정책으로 균형 모색.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린북 정책과 트럼프의 개별관세 정책 비교 (2) | 2025.04.08 |
---|---|
마러라고 협정(Mar-a-Lago Accord): 협상대상국 및 쟁점 (0) | 2025.03.31 |
미란 보고서의 주요 내용 요약 (0) | 2025.03.31 |
점성학으로 본 25년 주식 시장 (0) | 2025.03.21 |
한한령 해제 과거 사례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