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거래에서는 수많은 대금결제 방식이 있습니다. 수출하는자(매도인)의
제 1의 의무가 “물품의 인도 (선적)”이라면 수입하는자(매수인)의 제 1의 의무는
대금 지급일 것입니다.
대금결제는 무역거래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겠으며,
여러 가지로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대금결제 방식이 있겠지만 가장 주요하게 사용되는 대금결제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신용장 방식(L/C)
신용장이란 대금결제의 안전성이 가장 보장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용장 계약에 따라 신용장 거래조건에 일치하는 소정의 서류와 상환으로
수출상인 신용장 대금의 수익자 등에게 대금을 지급하거나, 수익자가 발행한 환어음을
지급, 인수하거나 지급/인수/매입하도록 수권하는 모든 약정을 말하며,
신용장 조건과 일치하는 서류를 은행에 제시할 때 은행이 대금지급 및 보증을 하는
방식으로 은행의 “조건부 지급확약”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보통 금액이 큰 거래나, 새로운 거래처와 최초거래시 상대방의 신용도에 대한
확실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 자주 사용되며, 은행이 대금지급 보증을 하기에
만약 수입자가 파산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수출자인 수익자가 신용장 제조건을
충족시키면 은행이 대금지급을 해주는 조건입니다.
2. 추심방식(Collection)
추심방식은 단순히 매매당사자간 계약에 의해 수출상이 물품을 선적한 후
관련 서류를 첨부한 화환어음을 은행을 경유하여 대금지급을 할 수입자에게 제시하면
수입자가 그 화환어음에 대해 대금 지급/인수를 하는 결제방식입니다.
거래방식은 앞서 살펴본 신용장 방식과 유사하지만, “은행의 지급보증”이 없는
결제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로 서로간에 신용이 두터운 경우나 본지사간 거래시 은행의 수수료등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하곤 합니다.
3. 송금방식(Remittance)
국내거래에서도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이며 절차가 간편하고 은행수수료가
적은 장점이 있는 방식입니다. 송금방식에는 ① 송금수표를 발행하여 송부하는 방식과
② 우편송금환을 발행하여 송부하는 방식, 그리고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③ 전신송금환(Telegraphic Transfer ; T/T) 방식이 있습니다.
전신송금환(T/T) 방식은 금액기준, 건수기준으로 현재 무역거래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 방식은 은행에 대금지급지시를 하면 은행이 cable을 통해 상대국 은행으로 대금을 송부하는 방식입니다.
T/T 방식으로 대표되는 송금방식은 물품대금을 물품 선적전에 송금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렇게 대금 선 지급시 수출상이 수출대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반대로 수입상 입장에서는 상품입수불능위험에 처할 경우도 생기겠습니다.
아래 표는 결제형태별 수출금액을 기준으로 무역거래시 사용비율을 정리한 표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점차 송금방식(그중에서도 T/T)의 사용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표는 우리나라에서 수출된 모든 실적의 데이터 이므로
참고삼아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결제형태별 수출실적>
(자료 : 한국무역협회)
결제형태
|
2006
|
2007
|
2008
|
비율(%)
|
비율(%)
|
비율(%)
|
|
(T/T,M/T)
|
40.30
|
42.20
|
44.50
|
(COD, CAD)
|
15.70
|
15.10
|
13.90
|
추심(D/A)
|
8.30
|
6.90
|
5.80
|
추심(D/P)
|
1.50
|
1.30
|
1.10
|
신용장(일람출급 L/C)
|
14.60
|
14.20
|
13.70
|
신용장(기한부 L/C)
|
4.40
|
4.30
|
5.10
|
기타 무상
|
1.80
|
1.30
|
1.50
|
기타 유상
|
8.00
|
7.90
|
7.20
|
분할영수(지급)방식
|
0.30
|
0.40
|
0.40
|
계좌이체(상호계산방식)
|
0.00
|
0.10
|
0.10
|
위탁(수탁)가공무역
|
5.10
|
6.10
|
6.60
|
송금합계
|
56.00
|
57.30
|
58.40
|
L/C 합계
|
19.00
|
18.50
|
18.80
|
추심합계
|
9.80
|
8.20
|
6.90
|
총계
|
100.00
|
100.00
|
100.00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상장사의 재무제표 확인 (1) | 2022.10.07 |
---|---|
대표이사의 책임 (1) | 2022.10.07 |
대표이사 이사회 & 주주총회의 결의 (0) | 2022.10.06 |
소규모 회사 대표이사의 단독업무 사항 (0) | 2022.10.06 |
이사회의 의사정족수와 의결정족수 (0) | 2022.10.06 |